본문 바로가기
사업·연구개발

Technology for Earth, Energy for Human

사업·연구개발

순환유동층 석탄화력

화면확대 화면축소 페이스북 바로가기 프린트 하기

순환유동층 석탄화력발전소(CFB Coal Fired Power Plant)

순환유동층 석탄화력발전소 전경 이미지

순환유동층 보일러(CFBC :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Boiler)는 공기와 석회를 동시에 주입시켜 연소시킴으로써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 오염물질 배출을 크기 줄이는 친환경 발전설비입니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석탄의 상당수가 저질탄인데, 순환유동층 보일러는 이를 완전 연소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습니다.

200MW급 동해화력 1,2호기는 국내 무연탄 소비 촉진 등을 위하여 순환유동층 보일러 방식이 적용된 우리나라 최초의 발전소입니다. 한국전력기술이 동해화력 1,2호기의 종합설계를 수행했습니다. 동해화력 1,2호기 설계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울산석유화학지원공단 열병합발전소, 금호열병합 순환유동층 보일러 증설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또한 몽골의 바얀텍(Bayanteeg), 필리핀 파나이(Panay)와 세부(Cebu), 인도네시아 방코바랏(Banko Barat) 등에 대한 순환유동층 석탄화력발전소 건설타당성 조사 등 해외사업도 수행했습니다.

한국전력기술은 340MW급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적용한 여수화력 2호기의 종합설계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2009년부터는 순환유동층 방식이 적용된 세계 최대급의 삼척화력 1,2호기 종합설계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삼척화력 1,2호기는 500MW급 유동층보일러 2대와 1000MW급 초초임계압 증기터빈 조합으로 구성된 세계 최대급의 순환유동층 변압운전 발전소입니다.

동해화력 1,2호기 계통도 - Diagram of Tonghae Units 1&2

동해 화력발전소 1,2호기 주요 설계 특성

동해 화력발전소 1,2호기 주요 설계 특성 - 정격출력, 사용연료, 운전방식, 보일러, 터빈, 발전기, 증기조건 등의 항목별 주요 특성 정보가 있습니다.
항목 주요특성

정격출력(NR)

200MW

사용연료

국내무연탄(Anthracite)

운전방식

기저부하 운전

보일러

순환유동층 아임계압, 옥내형, 석탄 전소식, 평형통풍방식

터빈

직열, 재생, 1단재열, 복수식

발전기

횡축, 밀폐형, 수소 및 수냉각, 3상 동기형

증기조건

176㎏/㎠g, 541℃(보일러 출구기준)

Plant 효율

37.89%

환경오염물질
배출현황

황산화물

85ppm (6% O₂Base)

질소산화물

35ppm (6% O₂Base)

먼지

3.6mg/s㎥ (6% O₂Base)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특징

  • 사용연료의 범위가 넓고 호환성이 크며, 보조연료 없이 저질 석탄 전소 가능
  • 설비 추가 없이 황산화물 및 질산화물을 국제기준치 이하로 저감
  • 회(灰)의 융점이하 저온 연소로 석탄의 Slagging 및 Fouling 현상 해소
페이지 만족도 평가 현재 페이지의 정보 제공에 만족하십니까? 개선/건의사항이 있으면 아래에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