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경영

Technology for Earth, Energy for Human

ESG경영

ESG 전략체계

화면확대 화면축소 페이스북 바로가기 프린트 하기

ESG경영 전략체계도

ESG경영 전략체계도는 ESG비전, 전략방향, 전략∙실행과제 세가지 분류로 나뉩니다. ESG비전은 한국전력기술과 함께 열어가는 지속가능한 미래(Sustainable Future with KEPCO-E&C) 입니다. 전략방향은 지속가능한 환경(ENVIRONMENT)과 포용적 서장(SOCIETY), 윤리∙준법경영(GOVERNANCE) 입니다. 전략∙실행과제는 본업기반의 탄소중립 실현(대규모 해상풍력 건설사업 선도, 역량기반 노후화력 폐지 지원, 온실가스 저감 친환경 O&M 확대), 환경영향 최소화 에너지 기술개발(수소경제 핵심기술 선도적 개발, 에너지 융∙복합을 통한 신에너지 확산, 친환경 폐기물처리 기술개발 및 활용), 환경 책임경영 이행(친환경 차량 보급 참여, 에너지자립 사옥운영체계 강화, 온실가스∙폐기물 등 배출량 감축), 기술역량 활용 안전한 에너지 확산(안전한 가동원전∙화력 운영 지원, 원전해체 및 사용후연료 관리 강화, 디지털 뉴딜 및 안전망 강화 기술개발), 동반성장 산업 생태계 조성(본업기반 동반성장 강화, 상생 R&D 생태계 확산, 지역기반 사회공헌 강화), 구성원이 행복한 기업문화 장착(인력 선순환 구조 확립, 지속가능한 인적자원 개발, 신뢰∙소통기반 조직문화 강화), 기업운영의 안정성∙투명성 강화(청렴∙윤리경영체계 고도화, 리스크관리 및 위기대응 강화), 이해관계자 가치 제고(이사회 운영 고도화, 무결점 공시체계 운영), 지속가능한 경영체질 개선(전략실행형 조직∙인사 기반 강화, 안전하고 스마트한 업무환경 구축) 입니다.

ESG경영 전략·실행과제 구성

ESG경영 전략∙실행과제 구성은 K-ESG 가이드라인에 회사 특성을 반영하여 구체화시켜 ESG경영체계 실행과제를 구성합니다. K-ESG 가이드라인은 기업 스스로 ESG경영 도입에 가이드로 활용 가능하고,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하게 범용적으로 구성되며, 4개 영역, 27개 범주, 61개 진단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업종별∙기업규모별 가이드가 '22년 부터 마련됩니다. K-ESG 가이드라인의 4개 영역 및 27개 범주는 환경(환경경영 목표, 원부자재, 온실가스, 에너지, 용수, 폐기물, 오염물질, 환경 법/규제 위반, 환경라벨링), 사회(목표 수립 및 공시, 노동, 다양성 및 양성평등, 산업안전, 인권, 동반성장, 지역사회, 정보보호, 사회 법/규제 위반), 지배구조(이사회 구성, 이사회 활동, 주주권리, 윤리경영, 감사기구, 지배구조 법/규제 위반) 및 정보공시(정보공시 형식, 정보공시 내용, 정보공시 검증) 입니다. ESG경영체계 실행과제 구성은 지속가능한 환경(대규모 해상풍력 건설사업 선도, 역량기반 노후화력 폐지 지원, 온실가스 저감 친환경 O&M 확대, 수소경제 핵심기술 선도적 개발, 에너지 융∙복합을 통한 신에너지 확산, 친환경 폐기물처리 기술개발 및 활용, 친환경 차량 보급 참여, 에너지자립 사옥운영체계 강화, 온실가스∙폐기물 등 배출량 감축), 포용적 성장(안전한 가동원전∙화력 운영 지원, 원전해체 및 사용후연료 관리 강화, 디지털 뉴딜 및 안전망 강화 기술개발, 본업기반 동반성장 강화, 상생 R&D 생태계 확산, 지역기반 사회공헌 강화, 인력 선순환 구조 확립, 지속가능한 인적자원 개발, 신뢰∙소통기반 조직문화 강화), 윤리∙준법 경영(청렴∙윤리경영체계 고도화, 리스크관리 및 위기대응 강화, 이사회 운영 고도화, 무결점 공시체계 운영, 전략실행형 조직∙인사 기반 강화, 안전하고 스마트한 업무환경 구축) 입니다.

ESG경영 성과지표(KPI)

ESG경영 전략체계는 주요기업, 글로벌 이니셔티브 ESG 관리지표 및 기관 특성을 고려한 KPI 구성으로 환경(Environment), 사회(Society), 윤리∙준법경영(Governance) 세가지 분류로 나뉩니다. 환경(Environment) 분류의 정량지표는 온실가스배출량, 폐기물 순배출량, 용수 순사용량, 기관 친환경차 비율, 신재생 활용 관리비 절감, 해상풍력기술 개발, 신재생 매출비중, 수소에너지 사업 매출, WTE∙바이오매스 매출, 석탄폐지, 대체 LNG건설 매출이고, 정성지표는 원전기반 수소생산 추진, 화력발전 효율 및 환경성능 개선 입니다. 사회(Society) 분류의 정량지표는 정부 동반성장 평가, 디지털 정부과제 및 사업수주, 협력사 소통지수, 중소기업 협력연구, 상생 기술혁신 투자, 상생형 기술이전(누적), 지역현안 해결형 사회공헌, 지역 상품권∙우선구매, 순환근무 실적, 성장∙미래사업 교과목 비중, 한기 특성화 계약학과 교육, 한기문화지수, 원전사후관리 매출(원전안전), O&M사업 매출(원전안전)이고, 정성지표는 디지털전환 기반 기술확보 및 사업화, 원전사후관리 주도 성과 입니다. 윤리∙준법경영(Governance) 분류의 정량지표는 종합청렴도, 법령 필수교육 이수율, 관리대상 리스크지표 비율, 여성임원 비율, 이사회 운영만족도, 경영공시 벌점, 조직운영 모니터링, 외부 조직진단이고, 정성지표는 스마트 업무환경 구축 및 운영, ISO27001(정보보호경영시스템) 인증 입니다.
페이지 만족도 평가 현재 페이지의 정보 제공에 만족하십니까? 개선/건의사항이 있으면 아래에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