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경영

Technology for Earth, Energy for Human

ESG경영

실행 및 점검체계

화면확대 화면축소 페이스북 바로가기 프린트 하기

실행 및 점검체계

실행 및 점검체계는 ESG경영 실행과제별 54개 Actioin Item 및 38개 성과지표(KPI) 설정, 기능별 전략 연계(ESG 전략부문-환경·사회·윤리준법경영, 3대 전략부문, 전략과제-본업기반의 탄소중립 실현..., 9대 전략과제, 실행과제-1.대규모 해상풍력 건설사업 선도, 24개 실행과제, Action Item- 1-1.해상풍력 기반기술 확보, 54개 Action Item,KPI - KPI+실행부서+연도별목표설정..., 38개 성과지표)를 플랜으로 (Do)기능별 전략 연계, (Check)단계별 성과점검, (Act)피드백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Do)기능별 전략 연계는 사업추진(지속성장을 위한 사업 및 마케팅 전략), 기술개발(중장기 기술개발 및 사업화 로드맵), 경영관리(중장기 HRD체계, 사회적 가치 전략체계 등) 입니다. (Check)단계별 성과점검은 PDCA 체크리스트와 38개 성과지표(KPI)로 이루어져 있으며, 책임부서점검(과제 담당부서 모니터링, 장애요인 식별 등), 전략부서점검(전략부서와 과제 총괄부서, 부진/우수과제 선별 등), 전사성과점검(ESG위원회 보고(반기), 전사 대응전략 도출) 입니다. (Act)피드백은 단기(ESG경영 정착, 과제별 장애요인 제거 및 고도화, 실행 및 점검체계 모니터링 및 보완), 중기(전사적 내재화 추진, 임직원 WSG경영 내재화 활동, 우수사례 공유 및 포상), 장기(전략 선순환 체계 구축, 중장기 경영전략 등 연동화(연1회), 성과점검(ESG위원회), 신규과제 발굴 등) 입니다.

한국ESG기준원(KCGS) ESG 평가 결과

한국ESG기준원(KCGS) ESG 평가 결과입니다.
연도 종합등급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2022년

B+

B

B+

B+

2021년

B+

B

B+

B+

2020년

B+

B+

A

B+

2019년

B+

B+

A

B+

2018년

B+

A

A

B

2017년

B+

A

B+

B

2016년

B+

B+

B+

B

2015년

B

B+

B

B

2014년

B

B+

B

B

2013년

B

B+

B

B

페이지 만족도 평가 현재 페이지의 정보 제공에 만족하십니까? 개선/건의사항이 있으면 아래에 남겨주시기 바랍니다.